한국 제약사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은 명확하다. 바로 신약개발과 M&A 등을 통한 덩치 키우기이다. 신약개발은 너무 멀고 돈도 많이 필요하다. 신약개발보다 빠른 것이 업계 구조재편, 즉 짝짓기이다.
약값 규제하면 경쟁력이 생길까?
기등재의약품 경제성 평가, 약가재평가, 시장형 실거래가제(저가구매 인센티브제), 실거래가 조사, 리베이트 규제(쌍벌제) 등 거의 모든 한국 정부의 의약품 관련 정책은 약값인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 제약업계의 구조재편이 일어나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를 바란다.
그럼 모든 의약품, 특히 제네릭의약품의 약값을 듬뿍 깎아 놓고 세제혜택 등 당근을 주어 M&A를 하게 하면 제약사는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
현재도 한국의 약값은 충분히 싸다. 의료비 중 약제비 비중이 30%에 육박한다며 마치 약값이 엄청 비싼 것처럼 얘기하고 있지만 한국인의 1인당 평균 약제비는 OECD 평균의 90%(구매력 기준)에도 못 미친다. 약제비 비중이 높은 근본원인은 바로 의료비(OECD 평균 1인당 의료비의 50% 미만)가 터무니 없이 싸기 때문이고 의사들이 불필요하게 약을 많이 처방하기 때문이다. 얼마전 지인이 감기몸살로 동네의원을 찾았는데 무려 10종류의 약품을 처방하더란다. 감기몸살과 직접 관련이 없는 소화제 종류가 3개씩이나...
의료비가 터무니 없이 낮기 때문에 의사들은 심지어 하루에 수백명까지 단타 진료를 하고 있다. 또한 의사의 처방권이라는 명분아래 약품처방량을 늘리고 리베이트 등 다른 보상을 탐하는 사례도 있다.
결국 정부규제로 너덜너덜해진 의약품만 가지고 있는 제약사끼리는 M&A를 해도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는 얘기이다.
약품 처방량 규제하면 구조조정 통해 경쟁력 확보 가능하다
감기환자가 오면
미국의 경우 우선 쉬게 한다. 그래도 안 되면 1~2종류 정도 처방해 준다.
한국의 경우는 무조건 처방 나온다. 그것도 5~7종류나...진통제, 해열제, 항생제 등 두루두루 처방하고 소화제까지...
처방종류를 줄이면 제약사는 백화점식 제품을 모두 가져갈 수 없다
제약사별로 제품구조조정이 잃어난다. 약값이 좋아 마진이 괜찮은 품목 중심으로 마케팅과 영업활동을 집중하게 되고 경쟁력을 잃은 품목은 알아서 죽일 것이다. 경쟁력 있는 품목 중심으로 차별화가 잃어나면 제약사간 M&A가 용이해 진다. 이렇게 된 후 정부가 M&A 등 구조조정에 대한 당근을 던진다면 업계 구조는 생각보다 빠르게 재편될 수 있고 국제 경쟁력 확보도 당초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을 것이다.
'내 일 야그(My job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 새내기(공채 3기) 풋풋한 인터뷰_아시아경제 (0) | 2010.05.04 |
---|---|
항암면역세포치료제 미국 FDA 허가 (0) | 2010.04.30 |
경제투데이--플러스형 인간관계 (0) | 2010.04.26 |
SBS CNBC 처녀 출전 (0) | 2010.04.20 |
혁신신약에 대한 꿈은 정말 이룰 수 없단 말인가? (0) | 201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