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어란? 중국어는 중국의 국어이며 중국, 대만, 홍콩, 화교권 등 전세계 13억 이상(20억이라고도 함)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중국어는 뜻글자(표의문자)이다.
2. 중국어의 종류 중국어를 중국인은 '한어[汉语]'라고 한다. 한어에는 표준어(普通话; 우리 나라의 국어에 해당)와 광동어, 민남어, 동북어 등 많은 사투리가 있다. 그 중 표준어[普通话]가 우리나라 국어에 해당하는 중국 공통 국어이며 현재 대만도 표준어를 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표준어는 북방어를 기초로 북경을 중심으로 하며 북경어음을 표준으로 하여 현대의 모범적인 구어어법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3. 만다린 유래 영어권에서는 표준어[普通话]를 ‘만다린[Mandarin]’이라고 한다. 힌두어로 ‘관리나 자문 위원’을 뜻하는 mantri가 말레이어에 들어와 쓰였고 이 지역을 식민지로 삼은 포르투갈이나 네덜란드가 이 말을 역시 들여와서 mandarim (포르투갈어) 또는 mandorijn(네덜란드어)을 이 지역의 ‘관리’라는 뜻으로 썼다. 이말이 영어에 mandarin으로 들어와 중국 관리를 뜻하게 되었다. 청나라 때 관리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관화[官话]’라고 하였고, 북경어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그 후로 지금까지 만다린 하면 중국 표준어를 지칭하고 있다.
4. 번자체와 간체자 구분 한국과 대만에서 흔히 사용하는 한자를 번체자(繁体字)라 하고 이 번체자를 단순화시킨 것을 간체자(简体字)라 한다. 이것은 결코 속자가 아닌 중국말을 글자로 나타내는 정식 글자이다. 간체자를 사용하게 된 것은 1956년 중국 정부가 한자간체화방안을 발표하고 부터이다. 처음에는 간체화 된 한자 515개와 간체화 된 부수 54개였으나 지금은 상용 간체자 2238개, 간체 부수 132개를 정식 글자로 상용하고 있다. 한국은 중국대륙과의 수교 이후 지속적으로 간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은 번체자와 간체자의 쓰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다. * 說(설)->说 :‘言(언)’이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같다. 그러나 부수로서 사용 될 때는 변함없이 ‘讠’로 사용한다. *‘門(문)’ 모두 ‘门’으로 변경되었을 때 부수와 상관없다. * 書(서)->书 : 글자 자체를 완전히 변형하였다.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한자(번체자)와 간체자
開(개)=>开(kai) |
蘭(란) =>兰(lan) |
業(업) =>业(ye) |
聽(청) =>听(ting) |
關(관)=>关(guan) |
歷(역) =>历(li) |
葉(엽) =>叶(ye) |
總(총) =>总(zong) |
觀(관)=>观(guan) |
陸(육) =>陆(lu) |
藝(예) =>艺(yi) |
親(친) =>亲(qin) |
廣(광)=>广(guang) |
龍(용) =>龙(long) |
郵(우) =>邮(you) |
聲(성) =>声(sheng) |
橋(교)=>桥(qiao) |
買(매) =>买(mai) |
衛(위) =>卫(wei) |
湯(탕) =>汤(tang) |
鷄(계)=>鸡(ji) |
賣(매) =>卖(mai) |
遠(원) =>远(yuan) |
風(풍) =>风(feng) |
國(국) =>国(guo) |
無(무) =>无(wu) |
園(원) =>园(yuan) |
筆(필) =>笔(bi) |
貴(귀)=>贵(gui) |
門(문) =>门(men) |
雜(잡) =>杂(za) |
蝦(하) =>虾(xia) |
軍(군)=>军(jun) |
發(발) =>发(fa) |
長(장) =>长(chang) |
韓(한) =>韩(han) |
劇(극)=>剧(ju) |
飛(비) =>飞(fei) |
將(장) =>将(jiang) |
漢(한) =>汉(han) |
機(기)=>机(ji) |
書(서) =>书(shu) |
電(전) =>电(dian) |
護(호) =>护(hu) |
農(농) =>农(nong) |
歲(세) =>岁(sui) |
專(전) =>专(zhuan) |
華(화) =>华(hua) |
達(달) =>达(da) |
術(술) =>术(shu) |
戰(전) =>战(zhan) |
歡(환) =>欢(huan) |
圖(도) =>图(tu) |
習(습) =>习(xi) |
錢(전) =>钱(qian) |
換(환) =>换(huan) |
東(동) =>东(dong) |
實(실) =>实(shi) |
際(제) =>际(ji) |
還(환) =>还(huan) |
動(동) =>动(dong) |
兒(아) =>儿(er) |
從(종) =>从(cong) |
語(어) =>语(yu) |
頭(두) =>头(tou) |
亞(아) =>亚(ya) |
進(진) =>进(jin) |
體(체) =>体(ti) |
樂(락) =>乐(le) |
藥(약) =>药(yao) |
車(차) =>车(che) |
|
5. 한어의 병음(발음) 우리말이나 영어에는 표음문자로 글자만 보고도 정해진 규칙대로 발음을 할 수 있지만, 한자는 표의문자로 글자를 보고 의미를 짐작할 수는 있어도 발음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중국
에서는 한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한어병음[汉语拼音]을 제정하고 공포하여 좀 더 쉽고 정확하게 음을 익힐 수 있게 하였다. 1958년에 한어병음방안에 따라 표음부호로서 공식 제정되어 표준말의 보급에 절대적인 공헌을 하고 있다. 한어병음은 알파벳 26자 중 [v]자를 제외한 25자와 특수모음[ü]로 구성된다. 이는 애초에 중국어를 표의문자인 한자 대신에 표음문자인 로마자로 바꿔쓰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된것
으로서 몇 차례 수정 보완을 거쳐 병음자모로 공식적으로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ㅇ 성모(声母) 한국어의 자음에 해당하는 성모(声母)가 있으며, 성모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자음표(声母表) |
순음 |
b, p, m, f 뽀어, 포어, 모어, 퍼어 |
두 입술사이에서 내는 소리 입술을 닫은 상태에서 강한 음을 낸다. |
설음 |
d, t, n, l 더, 터, 너, 러 |
혀끝에서 내는 소리 혀의 위치가 치아윗쪽을 튕기면서 낸다. |
설근음 |
g, k, h 거, 커, 허 |
혀뿌리에서 내는 소리 목젓앞에서 숨을 쉬는 듯 하면서 낸다. |
설면음 |
j, q, x 지, 치, 시 |
혓바닥과 위쪽 턱으로 내는 소리 |
권설음 |
zh, ch, sh, r 즈, 츠, 스, 르 |
혀를 구부리며 내는 소리 혀가 입천장에 닿을 듯 말듯하면서 소리를 낸다. |
치음 |
z, c, s 쯔, 츠, 쓰 |
혀끝에서 내는 소리 혀를 아랫니쪽에 붙였다 떼면서 소리를 낸다. |
ㅇ 운모(韵母) 한국의 모음에 해당하는 운모(韵母)가 있으며, 운모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모음 |
발음 방법 설명 |
기본모음 |
a |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낮게 하며 밝게 아~아 |
o |
우리말 오의 입 모양으로 어를 합성하여 오~오 |
e |
우리말 으의 입 모양으로 어를 합성하여 으~어 |
i |
우리말 이음을 입술을 좌우로 당겨서 길게 이~이 |
u |
우리말 오의 입 모양보다 입술을 둥글게 돌출시켜 우음으로 길게 소리낸다. |
u |
위에서 발음한 u의 입 모양으로 이음을 길게 소리 낸다. |
권설모음 |
er |
혀를 말고 발음하는 모음 |
복모음 |
ai |
“아”음은 길게 “이”음은 짧게! 아~~~~이 |
ei |
“에”는 길게 “이”는 짧게! 에~~~이 |
ao |
“아”음을 길게 “오우”음을 짧게! 아~~~오우 |
ou |
입을 약간 크게, 동그랗게 하고 “어우”라고 발음한다. |
비모음 |
an |
“아”음을 길게 끝음은 “ㄴ”으로! 아~~~ㄴ |
en |
아래턱을 당기고 입술을 좌우로 당긴 후 언~~~ㄴ 발음 |
ang |
밝고 환하게 아~~~앙~~~ |
eng |
아래턱에 힘을 주고 입술을 좌우로 당기고 엉~~~ |
ong |
“오”와 “우”의 중간발음! “dongdong”에서 “뚱”과 “똥”의 중간음 |
|
모음 |
발음 방법 설명 |
기본모음 |
a |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낮게 하며 밝게 아~아 |
o |
우리말 오의 입 모양으로 어를 합성하여 오~오 |
e |
우리말 으의 입 모양으로 어를 합성하여 으~어 |
i |
우리말 이음을 입술을 좌우로 당겨서 길게 이~이 |
u |
우리말 오의 입 모양보다 입술을 둥글게 돌출시켜 우음으로 길게 소리낸다. |
u |
위에서 발음한 u의 입 모양으로 이음을 길게 소리 낸다. |
권설모음 |
er |
혀를 말고 발음하는 모음 |
복모음 |
ai |
“아”음은 길게 “이”음은 짧게! 아~~~~이 |
ei |
“에”는 길게 “이”는 짧게! 에~~~이 |
ao |
“아”음을 길게 “오우”음을 짧게! 아~~~오우 |
ou |
입을 약간 크게, 동그랗게 하고 “어우”라고 발음한다. |
비모음 |
an |
“아”음을 길게 끝음은 “ㄴ”으로! 아~~~ㄴ |
en |
아래턱을 당기고 입술을 좌우로 당긴 후 언~~~ㄴ 발음 |
ang |
밝고 환하게 아~~~앙~~~ |
eng |
아래턱에 힘을 주고 입술을 좌우로 당기고 엉~~~ |
ong |
“오”와 “우”의 중간발음! “dongdong”에서 “뚱”과 “똥”의 중간음 |
성조[声调] 중국어에는 4성이라고 하는 성조가 있다. 높낮이의 변화를 표현한다. 우리나라의 예를 들자면 군인들이 상사의 질문에 ‘네’ 대답할 때는 짧고 강하게 ‘네’ 하지만, 어머니가 질문 할 때는 ‘네~’ 하고 조금은 부드럽고 길게 발음한다. 여기 두 ‘네’ 에서의 차이가 성조의 높낮이 길이 라고 생각 하면 된다. 그러나 한어는 한 글자 글자마다 성조가 있으니 이점이 한어 이해에 어렴움 이기도 하고 재미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ㅇ 성조의 발음 - 제1성: [ā] 고음에서 시작하여 계속 같은 높이로 평탄하게 발음한다. - 제2성: [á] 중음에서 시작하여 고음으로 상승하며 발음한다. - 제3성: [ă] 중저음에서 시작하여 저음으로 내려갔다 다시 올라가는 음으로 발음한다. - 제4성: [à] 고음에서 시작하여 급격히 가장 저음으로 내려가면서
ㅇ 성조의 변화 - 3성이 중첩될 경우, 앞의 음절의 3성은 2성으로 발음한다. - 중첩형식으로 구성된 단어의 제2음절 또는 ‘~들’ 이라고 하는 ‘们’이 붙으면 원래 성조를 무시하고 짧고 가볍게 발음하는데, 이것을 경성(轻声)이라고 한다. - ‘一’와 ‘不’의 성조변화 ‘一’는 원래 1성이지만 1, 2, 3의 성조 앞에서는 4성으로 발음하고 4성 앞에서는 2성으로 발음한다. ‘不’는 원래 4성이지만, 4성의 음절 앞에서는 2성으로 발음한다.
6. 어법(语法) 중국어는 영어의 “talk, talks, talked” 처럼 형태 변화가 없다. 우리말의 “은(는), 을(를), 이(가), 에(는)”에 해당하는 조사가 없다. 중국어도 한국어처럼 문장에서 주어와 술어의 위치는 같고 문법적 의미도 같다. 어순은 한국어와 똑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한국어의 목적어와 그의 수식어 부분을 동사 뒤로 빼면 똑 같게 된다.
7. 어법 설명 ㅇ 문장성분 [주어와 술어] 기본 문장은 문장 성분은 주어와 술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화에서는 주어와 술어가 생략될 수 있다. - 你好!안녕하세요! - 我去书店。나는 서점에 갑니다. - 你好吗?안녕하세요? (我)很好。 (저는) 네. “我”주어가 생략 - 谁是学生? 누가 학생이죠? 他。 그입니다. “是学生”술어가 생략
[목적어] 목적어는 주로 동사 뒤에서 동작이나 행위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해 준다. - 我有朋友。 저는 친구가 있습니다. - 他是大学生。 그는 대학생이다.
[한정어] 한정어는 주로 명사를 수식하며 한정어와 중심어 사이에는 조사 “的”를 붙인다. 명사가 중심으로 될 때에는“的”를 생략할 수 있다. - 他是老师。그는 선생님이다. - 我的书。 나의 책이다. - 我(的)哥哥。 저의 형님입니다.(친족 관계) - 他(的)家。 그의 집이다.
[부사어]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며 수식어 앞에 놓인다. - 老师很忙。 선생님은 매우 바쁘시다. - 他们都走了。 그들은 모두 갔다.
ㅇ 중국어의 기본 문형 [주어+술어(동사)] - 他吃。그는 먹는다.
[주어+술어(형용사)] - 中国菜好吃。 중국요리는 맛있다.
[주어+술어(동사)+목적어] - 他喝咖啡。 그는 커피를 마신다.
ㅇ 의문문 [吗의 의문문] - 您是老师吗? 당신은 선생님입니까?
[긍정, 부정 의문문] 긍정과 부정을 같이 나열하여 선택하게 하는 방식이다. - 你的书,是不是? 당신 책입니까? - 你的书,对不对? 당신 책이 맞나요? - 这一本书,是不是你的? 이 책은 당신 것입니까?
[의문대명사를 사용하는 의문문] 의문대명사 「谁 누구, 什么 무엇,怎么样 어떠한, 几 몇」등을 이용한다. - 谁是你的妈妈? 누가 당신의 어머니입니까? - 今天星期几? 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
[还是의 선택의문문] 의문문을 제기한 사람이 두 개의 답이 나올 것이라는 예측을 했을 때를 이용하여 선택의문문을 만든다. - 你去还是不去? 당신은 갈 겁니까,안 갈 겁니까?
[呢를 이용한 의문문] - 我很好,你呢? 나는 매우 좋아요,당신은요?
[好吗?의 의문문] - 我们去商店,好吗? 우리 상점에 가는 것이 좋습니까?
ㅇ 어기조사了와 동태조사了 어기조사는 문장 끝에서 어떤 사건이나 정황이 이미 발생한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동태조사는 동사의 끝에서 동작이 이미 완성되였거나 반드시 완성되는 것을 강조한다.
[사건의 발생-어기조사 了] - 昨天你去哪儿了? 당신은 어제 어디 갔었습니까? - 我去学校了。 학교에 갔었습니다.
[동작의 완성-동태조사 了] - 你买了什么东西? 당신은 어떤 물건을 샀습니까? - 我买了一件衣服。저는 옷 한벌을 샀습니다.
ㅇ 比를 이용한 비교문 개사는 2개 사물의 성질,특징을 비교할 수 있는데, 이것을 이용한 문장에서는 多와 같은 정도부사를 넣을 수 있습니다. - 他比我高。그는 나보다 크다. - 他比我高得多。그는 나보다 매우 크다. - 这个比那个好。이것은 그것보다 좋다. - 这个比那个好得多。이것은 그것보다 매우 좋다.
ㅇ 동작의 진행형 [正在]: 我正在看电视呢。지금 나는 텔레비전을 보고 있다. [正]: 你来的正好。당신은 마침 잘 왔습니다. [在] :他在看书呢。그는 (지금) 책을 보고 있다.
ㅇ 会와 能의 비교 [会]: 会는 습득한 능력을 표시한다. - 他会说汉语。그는 중국어를 할 줄 안다.
[能]: 能은 자연적인 능력을 표시한다. - 他能学。그는 배울 수 있다.
ㅇ 在와 有의 비교 [在]: 在는 문장의 주체가 어떤 장소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 사람(사물) + 在 + 장소: 他在家里。그는 집에 있다.
[有]: 有는 어떤 장소에 사람이나 사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장소 + 有 + 사람(사물): 家里有人。집에 사람이 있다.
열심히 익히고 배우시면 만리장성도 결코 높지는 않을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