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풍은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요산 수치가 높아져서 이것이 관절 안에 가서 침착되어 나타나는 일종의 관절염입니다. 그런데, 통풍이 관절 뿐만 아니라 신장에 가서 결석을 유발하기도 하고, 피하 지방에 침착하기도 합니다. 또한 통풍이 있는 분은 고혈압, 당뇨,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등과 같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syndrome X 중 하나라고 불립니다.
즉, 단지 요산 수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여러 장기에 만성적인 저강도의 염증이 지속되어 여러 장기에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이며 이는 거의 대개 식사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고열량의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철저하게 음식을 조절한다 하더라도 체내에 이미 많이 변성이 온 상태라 몇 달 한 것 가지고 눈에 띄는 좋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통 약제를 같이 사용하면서 경과를 봅니다. 물론 식이요법은 계속 병행하구요. 식이요법의 간략한 원칙은 아래에 정리하였습니다.
* 식사원칙은? | |||||||||
- 퓨린이 많은 식품섭취를 제한한다. | |||||||||
퓨린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면, 인체 내에서 대사 된 후 통풍의 원인인 요산을 많이 생성하게 되므로 퓨린이 많이 함유된 식품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 | |||||||||
- 적당한 양의 당질을 섭취한다. | |||||||||
통풍을 악화시키는 케톤증이나, 체 조직이 분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매일 적량의 당질을 섭취해야 한다. | |||||||||
- 과다한 지방섭취는 삼가 한다. | |||||||||
과다한 지방섭취는 요산의 배설을 방해하고, 고지방식 역시 비만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예, 튀긴 음식, 견과류 등 섭취제한) | |||||||||
- 적정 체중을 유지한다. | |||||||||
통풍환자에는 체중이 과다한 사람이 많으며, 비만한 통풍환자에게는 체중을 감량 시키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급격한 체중감소 역시 통풍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 알코올 섭취를 제한한다. | |||||||||
알코올은 퓨린 생성을 증가시켜, 고요산혈증 및 고 젖산뇨증을 일으키며, 요산 배설을 감소시킨다. 특히, 맥주와 와인은 통풍의 통증을 악화시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 |||||||||
- 물을 충분히 마신다. | |||||||||
신결석 (요산 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 하루에 2ℓ(약 10컵) 이상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 |||||||||
- 오후 늦은 과식은 삼가 한다. | |||||||||
저녁 늦게 과식은 요산 결석 형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삼가 해야 한다. | |||||||||
| |||||||||
* 정상적인 혈중 요산수치는? | |||||||||
- 개인차가 있으나 4~7 mg/dl면 정상이고 7 mg/dl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10mg/dl 이 넘으면 통풍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 |||||||||
* 식품 중의 퓨린 함량 (100g기준) | |||||||||
|
2. 증상이 있을 때만 치료하는 것은 좋은 치료법이 아니고 평시에 요산을 7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식이요법과 자이로릭이나 벤조브라마진 같은 요산 수치 저하제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식이요법을 잘하셔서 체중감량과 더불어 눈에 띄는 체질 개선이 이루어지면 위의 약제를 끊으실 수 있습니다.
|
- 고칼로리 음식 피하고 음식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 퓨린이 많은 식품을 제한하고 퓨린 함량이 적은 유제품(우유, 치즈), 계란, 두부 등을 단백질 급원으로 이용한다 - 퓨린함량에 따른 식품군 ㅇ 금지식품 : 멸치, 내장(염통, 콩팥, 간 등), 육수, 고등어, 연어, 청어, 조개 ㅇ 제한식품 :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완두, 버섯류, 아스파라거스 ㅇ 허용식품 : 쌀, 보리, 밀가루, 식빵, 콘프레이크, 국수 등의 곡류제품 - 술은 요산배설을 방해하므로 삼가하는 것이 좋다 - 과다한 지방(튀김류, 크림, 쵸콜릿, 땅콩, 호두, 잣 등)도 요산배설을 방해한다. - 충분한 양의 물을 마셔 요산배출을 촉진하도록 한다 - 싱겁게 먹는다
|
|
- 단백질 식품 : 육류(내장, 진한 고기국물)는 퓨린체의 함량이 대체로 높으므로 피하고 생선(흰살), 두부, 달걀 등을 광범위하게 섭취한다. : 계란김말이, 갈치조림, 돼지불갈비, 푸딩, 닭찜, 편육야채쌈, 두부된장찌게, 발효요구르트
- 탄수화물 식품 : 곡류는 퓨린 함량이 적으나 설탕이나 단 과자는 요산 생합성을 촉진한다. 감자류는 통풍환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 찐 옥수수, 감자조림, 통밀빵, 호박죽, 비빔국수, 조밥, 시루떡, 메밀국수
- 비타민 및 무기질 식품 : 녹황색 채소(시금치, 냉이, 쑥 등)와 담색 채소(배추, 무, 양배추 등)는 좋다. 과일은 퓨린 함량은 없으나 과당으로 요산합성과 관계되어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
: 가지나물, 양배추찜, 오이 김냉국, 호박전, 과일통조림, 쑥국, 냉이무침, 나박김치
- 지방 식품 : 지방은 열량이 많아 비만의 원인이 되고 튀기거나 뽂는 조리법은 퓨린의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 ||||||||||||
통풍성관절염을 관리하는 식이요법은 푸린이 많은 음식을 피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단백질은 저지방 유제품, 두부, 흰살 생선, 달걀 등으로 적당히 섭취하고 비티민C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선한 채소류에 비타민C가 특히 많이 들어있고, 푸린 함량이 낮으므로 푸른 채소류는 충분히 섭취하셔도 됩니다. 몸 속의 요산 배출을 위해 하루2L이상의 물을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
서울대학병원 Q&A 요산은 퓨린이라는 핵산물질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퓨린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을 과다 섭취하면 체내 요산이 증가하게 됩니다.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콩, 생선류, 굴, 게, 시금치, 버섯류 멸치, 육류의 내장(쇠간, 콩팥 등), 생선알, 정어리, 마른 오징어 등은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입니다. 따라서 요산을 감소시켜야 하는 통풍 환자에게는 위의 음식을 제한하는 식이요법을 권고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식이요법의 효과는 생각보다 적습니다. 아무리 잘 조절하여도 혈중 요산수치가 1 mg/dL 이상 감소하지 않는데, 대부분의 통풍 환자는 요산수치를 2-3 mg/dL이상 줄여야 치료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가 필요한 통풍 환자에서 식이요법이 약물을 대신할 수는 없으며 식이요법을 평생 지속한다는 것도 거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지나친 식이요법의 강조는 불필요합니다. 통풍의 식이요법에 가장 중요하고 실천하기 용이한 것은 첫째, 체중을 줄여 이상체중을 유지하도록 할 것, 둘째 술을 금하는 것, 셋째 물을 충분히 마실 것입니다.
|
'건강한 야그(Healthy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치료 이야기...존스 홉킨스 (0) | 2011.06.29 |
---|---|
허리건강 지키는 생활수칙 10계명 (0) | 2011.01.11 |
당뇨병에서 살아남기 (0) | 2010.08.16 |
고혈압에서 살아남기 (0) | 2010.07.12 |
디스크에서 살아남기-허리에 좋은 스트레칭&운동 (0) | 2009.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