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 쓰는 야그(Writing story)

목차만 잘 뽑아도 절반은 성공...요약과 소제목은...

1. 목적에 적합한 목차는 글쓰기의 시작이다

 

글을 쓸 때 가장 먼저 글을 쓰는 목적을 정해야 할 것이고

그 다음 실제 글쓰기의 시작은 내용구성과 그에 적합한 목차를 뽑아내는 것이다. 

특히 초보인 경우에는 목차를 논리적으로 잘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륜 있는 애널리스트의 경우 목차가 정해지면 이미 글쓰기의 30%, 아니 절반 이상을

마무리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목차의 수준을 결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같은 중요도를 가진 주제나 내용끼리 같은 수준에 묶는 테크닉이 필요하다

이를 테면

I, II, III......수준

그 아래 1. 2. 3.....수준

또 그 아래 1)   2)   3)   수준

각 수준과 비중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더 나아가 각 수준별 글쓰는 양까지도 조절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

 

 

ex> 기본적인 기업분석 목차 예시

 

I. 기업개황

- 연혁, 경영진, 주주구성, 주력제품, 등

 

II. 영업환경

- 주력제품이 속한 산업의 특성 및 전망

- 경쟁구도

- 정부정책 및 주요 이슈

 

III. 경쟁력 분석

- 분석대상 회사의 경쟁력(제품력, 개발력, 점유율 등)

 

IV. 실적분석 및 전망

- 실적분석 및 전망

- 재무구조 분석(수익성, 안정성,

 

V. 투자포인트 & Valuation

- 긍정적/부정적(Risk) 투자포인트

- Valuation : 목표주가 산정

- 투자의견 제시

 

<Appendix>

 

2. 요약과 소제목은 글쓰기의 마무리

 

요약은 독자들이 요약만 읽어도 글쓴이가 주장하는 바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요약은 요약이라는 점이다. 본문내용에 없거나 본문과 다른 주장을 요약에

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실제로 본문에 없는 내용을 요약에 담아 요약이 본문의 일부가 되는 사례가 있다.

 

소제목은 은유적인 표현이 효과적이다.

직설적인 내용보다는 본문내용이나 주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단, 너무 추상적이거나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는 오류를 경계해야 한다.  

 

<사 례>

ㅇ 9월 금통위 당일 장중 한때 국고채 3년 수익률 3.33%까지 하락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  소식에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 장중 한때 3.33%까지 하락)

ㅇ 현재 시장은 투자자들의 기대와 시장상황 사이에 괴리 발생

ㅇ 향후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는 완화될 전망

ㅇ 반면 양호한 채권시장 수급에 의해 시장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 완화 예상

ㅇ 그러나 국고 3년 금리 3.5% 수준 하회는 오버슈팅 국면으로 판단

 

1. 각 단락에 원인(근거)과 결과(전망)를 함께 담아 쉽게 표현할 것

2. 요약의 단락수는 3~4개가 적당

3. 각 단락은 독립적이어야 좋다. 그러나, 따라서, 반면 등 접속사로 단락 시작 X

4. 사실(fact)이나 본인의 의견을 요약해서 담아야

 

소제목

바이오기업 탐방을 다녀와서... => 지금 바로 관심을 가질 만한 바이오기업 5선/하반기 투자유망 바이오기업 5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