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무부처 영역 피하려 해외 펀딩 성공 기업에 초점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위해 중기청이 주력돼야 주장도
중소기업청의 크라우드펀딩 연계형 기술개발 지원 발표에 국내 크라우드펀딩 업체(플랫폼)들이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해외에서 펀딩에 성공한 기업에게 지원을 한다는 내용이어서 해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관심이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기청은 지난 1일 해외 크라우드펀딩 연계형 기술개발(R&D) 지원 제도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해외에서 5000만원 이상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기업에게 최대 1년간 2억원의 연구개발(R&D) 지원과 엔젤매칭투자를 해 준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중기청의 이같은 결정에 국내 크라우드펀딩 업체들은 크라우드펀딩 주무 부처인 '금융위원회'의 영역을 피해 중기청에 해외 크라우드펀딩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면서도 국내 스타트업들이 국내보다 해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더 큰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A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대표는 "금융위원회가 국내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기청이 적극적으로 나서기엔 상당한 부담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해가 안 가는 건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국내 크라우드펀딩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주 주영섭 중기청장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대표 및 엑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서 "이 자리에서 현실적인 어려움과 향후 방향성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 일각에선 아예 크라우드펀딩 주 부처를 현 금융위에서 중기청으로 옮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규제 일변도의 금융위보다는 중기청에서 주관할 경우 크라우드펀딩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고 예산 지원 등 여러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어서다.
B 크라우드펀딩 업체 대표는 "단순한 자금 모집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케팅에 목적을 두고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하는 기업들도 상당하다"면서 "때문에 마케팅에 대한 전문성이 전혀 없는 금융위가 담당하는 것보다는 중기청에서 총괄하는 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크라우드펀딩, 특히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극도로 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각종 규제들로 인해 제대로 된 홍보도 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실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일반 개인 투자자의 투자 한도는 한 기업에 최대 200만원, 연간 500만원에 그친다. 또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투자자들은 중개업자의 홈페이지에서만 펀딩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다. 금융위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터넷 포털, 유튜브 등을 통해 광고를 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관련된 법안은 여전히 국회에서 발이 묶여 있는 상태다.
yutoo@fnnews.com 최영희 중소기업전문기자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기청은 지난 1일 해외 크라우드펀딩 연계형 기술개발(R&D) 지원 제도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해외에서 5000만원 이상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기업에게 최대 1년간 2억원의 연구개발(R&D) 지원과 엔젤매칭투자를 해 준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중기청의 이같은 결정에 국내 크라우드펀딩 업체들은 크라우드펀딩 주무 부처인 '금융위원회'의 영역을 피해 중기청에 해외 크라우드펀딩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면서도 국내 스타트업들이 국내보다 해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더 큰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A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대표는 "금융위원회가 국내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기청이 적극적으로 나서기엔 상당한 부담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해가 안 가는 건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국내 크라우드펀딩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주 주영섭 중기청장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대표 및 엑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서 "이 자리에서 현실적인 어려움과 향후 방향성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 일각에선 아예 크라우드펀딩 주 부처를 현 금융위에서 중기청으로 옮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규제 일변도의 금융위보다는 중기청에서 주관할 경우 크라우드펀딩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고 예산 지원 등 여러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어서다.
B 크라우드펀딩 업체 대표는 "단순한 자금 모집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케팅에 목적을 두고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하는 기업들도 상당하다"면서 "때문에 마케팅에 대한 전문성이 전혀 없는 금융위가 담당하는 것보다는 중기청에서 총괄하는 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크라우드펀딩, 특히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극도로 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각종 규제들로 인해 제대로 된 홍보도 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실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일반 개인 투자자의 투자 한도는 한 기업에 최대 200만원, 연간 500만원에 그친다. 또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투자자들은 중개업자의 홈페이지에서만 펀딩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다. 금융위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터넷 포털, 유튜브 등을 통해 광고를 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관련된 법안은 여전히 국회에서 발이 묶여 있는 상태다.
yutoo@fnnews.com 최영희 중소기업전문기자
'내 일 야그(My job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K투자증권, 비스마트와 크라우드펀딩 MOU 체결......한국경제 (0) | 2017.03.14 |
---|---|
판교에가면, IBK투자증권과 '크라우드펀딩 조성'위한 MOU체결...파이낸셜뉴스 (0) | 2017.03.03 |
상장사 갑질에… ‘할 말’ 못하는 증권사 투자보고서 (0) | 2017.01.25 |
28세 스타트업 CEO, 크라우드펀딩으로 한 달새 7억 모아...한국경제 (0) | 2016.09.19 |
인천상륙작전 700만, 크라우딩펀드 수익률 26% 상륙...머니투데이 (0)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