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금융상품 야그

'스타트업 투자 대중화' 크라우드펀딩 시대 (下)

JinGuy 2016. 1. 26. 10:34

'스타트업 투자 대중화' 크라우드펀딩 시대 (下)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국내 유일한 수제 자동차 제조업체인 모헤닉 김태성 대표(45)가 25일 온라인 소액투자 중개업자인 와디즈를 통해 자금 모집에 들어갔다. 목표 금액은 5억원이다. 모헤닉은 오래된 갤로퍼 뼈대만 남겨두고 외형과 내부 인테리어를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뒤 각종 부품들을 모두 새것으로 교체해 판매한다.

김태성 대표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여러 개인에게 소액 지분투자를 받는 방식이어서 자금 모집 과정에서 수제 자동차에 대한 일반인 인식이 조금이나마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참여하게 된 동기를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번에 모집하는 5억원으로 고마력 엔진을 장착하고 이에 걸맞은 차체를 갖춘 고성능 차량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시설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25일부터 크라우드펀딩 청약업무가 시작되면서 모헤닉과 같은 새로운 아이템을 갖춘 스타트업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의 장이 열렸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와디즈 유캔스타트 오픈트레이드 인크 신화웰스펀딩 등 총 5개 온라인 소액투자 중개업체가 등록을 마쳤다. 투자자들은 이들 중개업체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회원 가입→투자한도 조회→청약 및 실시간 계좌이체→청약 결과 및 배정 내역 확인' 순으로 투자하면 된다.

이번에 개시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는 모헤닉뿐만 아니라 수산부산물(어류 껍데기)에서 마린콜라겐을 추출해 화장품을 제조하는 마린테크노, 수입차들을 대상으로 보증 상품·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라이월드홀딩스 등 이색적인 사업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 기업들이 참여했다. 이 중 마린테크노는 크라우드펀딩 첫날 목표 금액인 7000만원을 모두 모집하기도 했다. 오후 4시 기준으로 중개업자 사이트에 약 4만명이 접속하는 등 크라우드펀딩 전반에 대한 투자자 관심은 뜨거웠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관리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 3만개 중 금융위원회·예탁결제원·기업은행 등이 1000개 기업을 크라우드펀딩 대상 기업으로 추천할 예정이어서 향후 투자자들이 고를 수 있는 기업 수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미 한 중개업체당 100~200곳 정도 펀딩 문의가 들어올 정도로 스타트업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다.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은 "예탁결제원도 크라우드펀딩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모든 유관기관과 힘을 합쳐 국내 생태계가 정착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용환진 기자]